안산시 역사2

안산시 역사2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조선시대 안산 치소의 위치와 이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역사2 조선시대 안산 치소의 위치와 이동 조선 개국 후 조선의 태조 이성계는 1392년 개국한 후 3년째인 1394년에 수도를 개성에서 한양으로 옮기고, 그의 아들 태종은 지방행정제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여 고려시대의 5도 양계 체제를 8도 체제로 재정립하였다….

더보기

안산시 역사1

안산시 역사1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고대~고려시대의 안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역사1 고대~고려시대의 안산 삼국사기 고대 안산 《삼국사기》지리지에는고대 안산의 연혁이다음과 같이 기록되었다.a) 장구군은본시고구려의장항구현인데, 경덕왕이개명하였으니지금의안산현이다.獐口郡本 句麗獐項口縣景 王改名今安山縣《삼국사기》 ( 권35, 잡지4, 지리2, 신라)b) 고구려 한산주 장항구현 [고사야홀차라고도 한다.]漢山州 獐項口縣 [一云古斯也忽次] 《삼국사기》 ( 권37, 잡지6, 지리4, 고구려, 백제)자료 a)는 지금의 안산은…

더보기

안산시 상징물3

안산시 상징물3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상징물인 시의 새 노랑부리백로와 안산시민의 노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상징물3 시의 새 노랑부리백로 노랑부리백로 시의 마크 황새목 백로과의 대형 조류 몸길이 약 65cm이다. 온몸이 흰색이고, 머리에 장식깃이 있다. 가슴과 등에도 곧은 장식깃이 있지만 짧고, 부리는 노란색이다. 눈언저리는 푸른빛을 띤다. 다리는 검정색이나…

더보기

안산시 상징물2

안산시 상징물2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상징물인 시의 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상징물2 시의 꽃 장미 상징 쌍떡잎 식물 장미목장미과에 속하는 식물의 총칭 야생종의 장미는 주로 북반구의 온대와 한대 지방에 분포한다. 오늘날 장미는 야생종 사이의 잡종이거나 그 개량종으로, 주로 향료용· 약용으로 재배되어 오다가 중세 이후에 관상용으로 개량하여…

더보기

안산시 상징물1

안산시 상징물1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상징물인 시의 나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상징물1 안산시 상징물1 은행나무 은행나무과의 낙엽교목 분류 : 은행나무과 원산지 : 중국 분포지역 : 온대지역 서식장소 : 고원지대를 제외한 온대 크기 : 높이 5~10m(33m에 달하는 것도 있음) 공손수(公孫樹)·행자목(杏子木)이라 하며 잎의 모양이 오리발을 닮았다 하여 압각수(鴨脚樹)라고도…

더보기

안산시 역대시장

안산시 역대시장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안산시 역대시장에서는 안산의 1대부터 13대까지의 역대시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역대시장 13대 제종길(諸淙吉) 2014.07.01~(4년) ‘상상그이상을 꿈꾸는 도시’ 12대 김철민(金哲玟) 2010 07.01~ (4년) ‘시민이 행복한 복지 안산’ 11대 박주원(朴柱源) 2006 07.01~ (4년) ‘시민을 편안하게, 시민을 즐겁게,시민을 행복하게’ 안산시 역대시장 10대 송진섭(宋振燮) 2002.07.01~ (4년) ‘참여하는 시민, 도약 하는…

더보기

안산시동별유래4

안산시동별유래4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안산시동별유래3에서는 반월동(半月洞), 안산동(安山洞), 대부동(大阜洞)의 유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동별유래4 안산시동별유래4 반월동(半月洞) 마을 가운데 수리산 줄기의 속칭이 반월산이라 하여 그이름을 따 반월이라 하였으며 예전에 화성군 반월면 관내에서 팔곡동 담너머 마을을 큰반월이라 하였고 담너머보다 호수가 적은 곳이라 하여 작은반월 이라 불렀다.본래는 화성군 매송면 월리와 본오동 경계에 사람들이 살았으나 그곳이…

더보기

안산시동별유래3

안산시동별유래3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안산시동별유래3에서는 일동, 사동, 본오동의 유래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동별유래3 일동(一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일리라 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일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 111호에 의거 수원군 반월면 일리로 개칭되었고, 그후 1949년 8월 15일 대통령령 제 161호에…

더보기

안산시동별유래2

안산시동별유래2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안산시동별유래2에서는 안월피동, 선부동, 원곡동, 초지동의 유래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동별유래2 안산시동별유래2 월피동(月陂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월피리라 칭하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월피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安山市 月陂洞)으로 되었다.본래의 이름은 다리피(月入陂)로 달뜨는…

더보기

안산시동별유래1

안산시동별유래1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시동별유래중 고잔동, 부곡동, 성포동, 와동에 대해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동별유래1 동별유래 안산시동별유래1 고잔동(古棧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고잔리라 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고잔리로 개칭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安山市 古棧洞)으로 되었다. 고잔은 고지(串)안쪽에 있는 마을이란 뜻이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