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 미술관3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심사정 묵죽도, 김양기 호응도와 호접도, 강세황 목포도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미술관3 심사정 묵죽도 등록일 2021-11-09 심사정沈師正[1707-1769], 조선朝鮮 18세기종이에 수묵담채, 28.0×19.0cm, 안산시(김홍도 미술관) 왼쪽 하단에서 비스듬히 솟아오른 죽간을 중심으로 화면을 구획하고 몇 개의 죽지(竹枝)에 분방한 필치로 죽엽들을 묘사하였다. 주목되는 것은 마치 화면의 일부를 확대한…
안산 미술관2
안산 미술관2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최북 모란죽도, 이정 관폭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미술관2 최북 모란죽도 등록일 2021-11-09 최북崔北[1712-1786년경], 조선朝鮮 18세기,종이에 수묵담채, 27.5×32.0cm, 안산시(김홍도 미술관)소장 조선후기에 개성적 회화세계를 형성했던 호생관(毫生館) 최북이 모란과 대나무를 한 화면에 그려낸 작품이다. 화면 가득 채운 활짝 핀 모란과 아직 피지 않은 모란, 그리고 대나무…
안산 미술관1
안산 미술관1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김홍도 여동빈도, 허필 국석도, 최북 헐성루망금강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미술관1 김홍도 여동빈도 등록일 2021-11-09 김홍도金弘道[1745-1806이후], 조선朝鮮 18세기 후반종이에 수묵담채, 25.5×41cm, 안산시(김홍도 미술관)소장 화면 오른쪽에는 “萬里西風一劍寒 丹邱”라는 제시가 적혀 있다. 이 시는 여동빈의 아래 시 중의 한 구절이다. 단구丹邱는 김홍도가 50세 이후에 사용한 호이다….
안산 문화유적탐방4
안산 문화유적탐방4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문화유적 고송정지, 화림선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문화유적탐방4 고송정지 선 세조2년(1456) 단종복위의 모의에 가담했다가 참화를 당한 김현석의 아들 김충주가 탈출하여 마하산에 매일 올라와 단종(端宗)이 있는 영월을 바라보며 흘린 눈물에 소나무가 말라 죽었다는 고송정(枯松亭)이 있던 자리이다.단종 복위운동에 가담했다가 참화를 당한 김문기(金文起)의 손(孫)인 김충주(金忠柱)가…
안산 문화유적탐방3
안산 문화유적탐방3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문화유적 청문당, 오정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문화유적탐방3 청문당 청문당은 서울 근교에 남은, 조선시대 중기의 사대부 가옥으로 만권이나 되는 서적이 보관되어 있어 조선 후기의 학문과 예술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청문당은 안산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가옥으로 진주유씨네의 16대 손인 유시회(柳時會, 1562-1635)가 지었다고 한다. 유시회는…
안산 문화유적탐방2
안산 문화유적탐방2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안산읍성 및 관아지, 잿머리 성황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문화유적탐방2 안산읍성 및 관아지 안산읍성 및 관아지는 조선시대는 안산군의 진산(鎭山)인 수암봉에서 서쪽으로 길게 뻗는 100미터 이내의 능선을 이용하여 평지를 감싸도록 고려후기 이후에 축성된 전형적인 평산성(平山城)이다.안산읍성은 옛 안산군의 진산인 수암봉에서 서쪽으로 길게 뻗은 전형적인…
안산 문화유적탐방1
안산 문화유적탐방1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쌍계사, 이익선생묘, 최용신선생묘, 사세충렬문, 별망성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 문화유적탐방1 쌍계사 안산시 유일의 전통사찰로 지정된 쌍계사는 1689년(숙종 15년) 이전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로서 2002년에 경기도 유형문화제로 지정된 아미타 화상도와 현황도를 비롯하여 조선후기 불상으로 훼손된 부분이 한군데도 없는 목조여래좌상도 있다. 이익 선생 묘…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 안산시청은 단원구 고잔동 515번지(단원구 화랑로 387)에, 상록구청은 사동 1584번지(차돌배기로1길 15)에, 단원구청은 초지동 666-2(중앙대로 685)에 위치해 있다. 최초 상록구와 단원구 최초 상록구에는 일동一洞, 사1동四一洞, 사2동四二洞, 본오1동本五一洞, 본오2동本五二洞, 본오3동本五三洞, 부곡동釜谷洞, 월피동月陂洞, 성포동聲浦洞,…
안산시의 성립과 행정구역 변화2
안산시의 성립과 행정구역 변화2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의 탄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의 성립과 행정구역 변화2 안산시의 탄생 1980년대 반월지구출장소는 1985년 12월 28일에 공포된 법률제3798호에 의거 1986년1월 1일부로 안산시가 되었다. 반월신도시 개발사업 당시 한때 통상 반월시로 불린 적도 있으나 시 이름은 옛 지역의 이름인 안산으로 결정되었다. 안산이라는 이름을…
안산시의 성립과 행정구역 변화1
안산시의 성립과 행정구역 변화1 소개 안녕하세요.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반월신공업도시의 조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의 성립과 행정구역 변화1 반월신공업도시의 조성 1914년시흥군과수원군에통합됨으로써이름까지사라진안산은1986년1월1일부로 독립하여 시로 승격되었다. 안산시의 독립은 1976년 10월‘반월신공업도시 건설계획안’이 발표되면서 그 서막이 올랐다. 당시는 박정희 정부가 1962년부터 시작한 경제개발 5개년 3차계획이 종료되는 시점이었다. 이 계획은 기본적으로 불균형 성장론에 기초한, 공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