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 소개
안녕하세요.
안산호빠입니다.
오늘은 안산호빠와 함께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
안산시청은 단원구 고잔동 515번지(단원구 화랑로 387)에, 상록구청은 사동 1584번지(차돌배기로1길 15)에, 단원구청은
초지동 666-2(중앙대로 685)에 위치해 있다.
최초 상록구와 단원구
최초 상록구에는 일동一洞, 사1동四一洞, 사2동四二洞, 본오1동本五一洞, 본오2동本五二洞, 본오3동本五三洞, 부곡동釜谷洞, 월피동月陂洞, 성포동聲浦洞, 반월동半月洞, 안산동安山洞 등 모두 11개 동이 속했고,
단원구는 와동瓦洞, 고잔1동古棧一洞, 고잔2동古棧二洞, 원곡본동元谷本洞, 원곡1동元谷一洞, 원곡2동元谷二洞, 초지동草芝洞, 선부1동仙府一洞, 선부2동仙府二洞, 선부3동仙府三洞 등의 10개 동과 대부출장소를 관할하였다.

구 설치 이후
구가 설치된 이후에도 분동은 계속되었다.
개청 당시 11개 동을 관할하던 상록구는 2004년에 일동에서 이동이 분동하고(12개 동), 2007년에는 사1동에서 사3동이
분동하여 2010년 현재 13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고, 10개동과 대부출장소를 관할하던 단원구는 2003년에 고잔1동에서
호수동이 분동하고(시조례 제1056호, 11개동), 1997년에 대부 출장소에 흡수되었던 대부동이 2005년에 부활함으로써
(시조례 제1183호), 12개의 행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시 승격 이후 2011년까지의 행정구역 변동내용을 일괄하여 정리하면 [표2]와 같다.

안산시는 2011년 현재 25개 행정동과 30개 법정동으로 편재되어 있다.
행정동 본오1동은 팔곡2동을, 월피동은 양상동과 부곡동을, 반월동은 사사동∙건건동∙팔곡1동을, 안산동은 수암동, 장상동,
장하동을, 원곡본동은 신길동을, 초지동은 원시동∙목내동∙성곡동을, 선부3동은 화정동을, 대부동은 대부남동, 대부북동,
대부동동, 선감동, 풍도동을 법정동으로 두고 있으며, 반대로 각 행정동 선부1∙2∙3동은법정동으로는 선부동으로 통합되어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여지도서》, 《호구총수》, 《경기지》,
《여도비지》, 《대동지지》, 《경기읍지》, 《기전읍지》, 《해동지도》, 《동여도》, 《청구도》, 《대동여지도》,
《조선 후기 지방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영인본), 1997.
1:50,000 지형도
- 《구한말한반도지형도》(남영우 편, 영인본, 성지문화사, 1996)
- 도엽명 : 제물포, 과천, 대부도, 남양
- 《근세한국오만분지일지형도》
- 도엽명 : 인천, 군포장, 대부도, 남양
- 195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 도엽명 : 인천, 안양, 수원, 대부, 남양
- 1:250,000 지세도
- 도엽명 : 서울
- 행정지도
- 〈안산시행정지도〉, 안산시, 2001
안산시사편찬위원회, 《안산시사》, 1999.
천종호, 《국토종합개발계획과 중부지방 서해안의 지역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이헌창, 《민적통계표의 해설과 이용방법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7.
김종혁 l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출처 안산시청
안산시 구와 동의 체제 소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