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동별유래3 소개
안녕하세요.
안산호빠입니다.
안산시동별유래3에서는 일동, 사동, 본오동의 유래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동별유래3
일동(一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일리라 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일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 111호에 의거 수원군 반월면 일리로 개칭되었고, 그후 1949년 8월 15일 대통령령 제 161호에 따라 화성군 반월면 일리가 되었다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 3798호에 의거 안산시 상록구 일동(安山市 一洞)으로 되었다. 일동은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으로 안산군 군내면과 경계를 이루었던 곳이다. 일동은 웃말, 응단말, 기와집말등을 통칭해 ‘구렁골’이라 부르고 있는데, 이는 이곳이 명당지지로 좌청룡이 완연한 곳이기 때문이다. 구렁골은 본래 단성 이씨의 세거지이나 조선 말엽에 김수근, 김병학,김병국,김정규,김용진등 안동김씨 세도에 밀려 안동 김씨의 세장지로 되었다가 신도시 개발(1979년)때 이들의 묘는 화장되었고, 신도비와 묘역에서 출토된 18명의 남.여 복식은 온양 민속박물관에 의해 수습되었다. 이들 유물을 가지고 동 박물관에서는 개관 11주년 기념으로 1989년 10월 25일부터 11월 26일까지 ‘안동김씨분묘출토복식전’을 열었다. 특히 근세 한국화 화가로 유명했던 김용진(金容鎭)의 구룡산인(九龍山人)이란 아호는 이곳 지명에서 취한 것이라고 한다.
안산시동별유래3 사동(四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삼리와 사리였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98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삼리와 사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수원군 반월면 사리로 개칭되었고 그후 1949년 8월 15일 대통령령 제 161호에 따라 화성군 반월면 사리가 되었다.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사동(安山市 四洞)이 되었다. 사동은 신도시개발 전에는 화성군 양감면 면장보다 사리(현 사동) 이장을 한다고 할 만큼 화성군 관내에서는 이(里)면적이 제일 컸다고 한다. 사동은 구라와 승지골 외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주택단지, 아파트단지, 학교(대학교) 부지로 조성되었다.
안산시동별유래3 본오동(本五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성곶면 오리가 본오리와 분오리로 나뉘었다가 1906년 9월 24일 칙령 제49호에 따라 안산군 성곶면 본오리와 분오리로 되었으며,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의거 수원군 반월면 본오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상록구 본오동(安山市 本五洞)이 되었다. 본오동은 조선시대에 성곶면의 행정구역을 조정할 때 1리 ∼ 4리는 쉽게 마을 명칭이 결정되었으나 배옷 주민들과 선암동 주민들은 서로 이해가 엇갈려 배옷은 본오리로, 선암동은 분오리로 나뉘어 불리게 되었다. 그후 1914년 부군을 통합하면서 분오리를 본오리에 흡수해 본오리로 하였고 시제(市制)가 실시되면서 ‘본오동’ 으로 개칭하였다.
출처 안산시청
안산시동별유래3 소개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