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동별유래2 소개
안녕하세요.
안산호빠입니다.
안산시동별유래2에서는 안월피동, 선부동, 원곡동, 초지동의 유래에 대해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안산시동별유래2
안산시동별유래2 월피동(月陂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잉화면 월피리라 칭하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수암면 월피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상록구 월피동(安山市 月陂洞)으로 되었다.
본래의 이름은 다리피(月入陂)로 달뜨는 언덕받이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월피동은 예로부터
농토가 비옥할 뿐 아니라 월피천과 안산천등 하천이 있어 연년세세 풍년이 들어 부자가 많이 살던 곳이다.
신도시 개발로 모든 마을이 폐동되어 서쪽지역은 택지로, 동쪽지역은 아파트단지로 변모되었다.
선부동(仙府洞)
옛날에 선녀가 내려와 목욕하던 우물이 있었기 때문에 선부리(그 우물을 ‘석수골 우물’이라 함) 라 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대월면 선부리와 달산리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선부리로
개칭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의거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安山市 仙府洞)으로 되었다.
선부동은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관내에서 최초로 장시(산대장)가 섰을 만큼적대던 곳이었다.
특히, 안산의 곽적성씨중 안산 김씨 후손중에 김맹전 (金孟銓)의 묘를 석수골에 쓴 후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면서
안산에 안산 성씨의 뿌리를 내렸다 한다. 또한 이곳은 안산의 인맥중 가장 번성했던 파평 윤씨 소정공파 후손들의
주세거지이기도 하다.
원곡동(元谷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원상리와 모곡리라 칭했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安山市 元谷洞)으로 되었다.
원곡동은 원상리(양지마을)의 ‘원(元)’자와 모곡리(골)의 ‘곡(谷)’자를 취한것이며, 신도시 개발 후 취락이 폐동되자
원주민을 위한 이주단지가 조성되어 원주민이 가장 많이 살고 있다.
원곡동 내에 있는 땟골은 예로부터 피난곳이라 하여 전란때만 되면 화를 면한다는 속설 때문에 많은 사람이 몰렸으며,
양지마을은 분묘가 많았던 곳이었으나 현재는 안산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으로 변모되었다.
또한 백성말은 처음에는 집 한채가 있었으나 장차 백가지 성이 살 곳이라 했는데, 이름 그대로 주택이 밀집되어 있다.
초지동(草芝洞)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와리면 초지리였다가 1914년 3월 1일 부령 제111호에 따라 시흥군 군자면 초지리로 되었고,
이어 1986년 1월 1일 법률 제3798호에 따라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安山市 草芝洞)으로 되었다.
초지동은 삼국시대 이후부터 조선 왕조에 걸쳐 남양만을 제압하는 서해안의 요충지로 초지양영이 있었는데
효종7년(1656년)에 이를 강화도로 옮겨 이곳을 1초지, 강화도의 것을 2초지라 하였다.
이곳은 일찍이 어업이 번성했던 곳이나 신촌, 옛집터, 작은백중, 큰백중, 작은주정등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마을이 폐동되어 공장이 들어섰다.
출처 안산시청
안산시동별유래2 소개 끝